목록메모장 (8)
대충살자 열심히..

ISA계좌와 IRP계좌의 이중과세 문제 및 절세 전략최근 대한민국에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와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를 활용한 해외 펀드 투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법 개정 이후 해외 펀드 투자 시 이중과세 문제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절세 전략으로 레버리지 ETF 활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ISA 및 IRP 계좌의 이중과세 문제기존에는 연금저축계좌(IRP 포함)나 ISA를 통해 해외 펀드에 투자할 경우, 배당소득세가 과세이연되어 연금 수령 시점 또는 계좌 만기 시점에만 세금을 납부하면 되었습니다. 그러나 2025년부터 변경된 세법에 따라 해외 펀드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에 대해 외국 정부가 원천징수한 세금을 즉시 공제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

**글쓴이의 일반적인 생각 입니다...**ISA계좌에 대한 생각을 조금 정리해봅니다. ISA계좌의 장점1. 절세2. 손익통산 ISA계좌의 단점1. 3년 필수 가입기간2. 매년 2000만원 한도3. 해외주식 직접투자 불가 ISA 계좌를 어떻게 이용하면 좋을까?....ISA계좌는 무조건 국내 해외ETF를 사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한다.이유는 일반계좌에서 국내해외ETF를 매매 하게 되면은 그 이득본 금액은 배당소득세로 잡힌다. 그리고 손해본 금액은 무시하고 이득 본 금액만 포함하여 2000만원 이상이면 종합소득세에 붙는것으로 알고 있다.하지만 ISA계좌는 손익통산 개념이고절세에 대한 금액 비과세 (일반형은 200만원까지 이지만 서민형, 농어민형은 400만 원) 있지만사람마다 다르지만 3년에 200만원은 생각보..

최근에 슈퍼마이크로컴퓨터 회계조작 관련하고, 옛날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가지고 있다가 손절을 했습니다. 누군가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손절할 수 없는 우상향 기업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뭔가 잘못됨을 깨닫고 손절했습니다. 물론 셋다 좋은 회사라고 생각했지만, 주가는 생각만큼 오르지 않았고 무엇보다 주린이 입장에서는 증권사리포트를 믿었습니다. 물론 저도 참고만 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지만 펀더멘털 적으로 괜찮은 회사라고 생각했고 실적도 오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SK하이닉스 같은 경우는 다시 저점을 만들고 목표 주가를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슈마컴과 삼성전자는 여러 문제가 많아서 힘들 것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손절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느낀 것으로는 주식투자는 소신..

***주린이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읽고 무시해 주시면 좋겠습니다***환율이 미친 듯이 오르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인하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그런 것 치고는 생각보다 많이 올라서 글을 한번 적어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유 1. 금리인하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인하를 했으니 원화가 약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물론 제 생각으로는 하면 안 되었다고 생각했으나, 똑똑하신 분들이기에 현명한 판단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2. 전쟁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도 북한이 지원하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에서 이스라엘과 이란으로 넘어갈 조짐입니다. 그래서 다들 안전자산을 찾는 게 아닐까 하네요. 3. 삼성전자 요즘 삼성전자 주식이 52주 최저가를 맞이하고 있고, 외국인들이 2달 동안 내내 팔고 있습니다. 그..

**글쓴이가 잘못 이해한 것 일수도 있습니다..**국내 해외 ETF 국내 해외 ETF는 국내에 상장된 ETF 지만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Ex) 나스닥, 미국, S&P 등 이름이 붙은 ETF **국내 해외 ETF는 배당소득세로 들어갑니다** 국내 해외 ETF로 시세 차익을 얻으면 비과세로 진행되지만 배당소득세로 들어가 연 2000만 원이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됩니다. 연 2000만 원이 넘지 않으면 15.4%의 원천징수로 끝납니다. 은행 예금의 이자나 주식의 배당금 소득을 합쳐서 연 2,000만 원(2012년 이전은 4,000만 원)이 넘어가면 금융소득종합과세를 적용한다.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15.4%(지방소득세 포함) 세율의 원천징수로 끝나지만, 연간 2,0..

어제 미국의 실업수당청구건수가 나왔습니다.저번 실업률이 높게 나오기는 했지만, 생각보다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낮게 나와서 다행이네요. 경기 침체의 위험이 줄어들었으나 완전히 없다고는 생각 못합니다. 그래서 주식을 조금씩 분할매수를 하려 합니다. 슈마컴, 사운드 하운드 AI인데요. 둘 다 최근 실적 발표를 했고 AI수혜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많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조금씩 담아보려 합니다. 슈마컴은 AI데이터 서버를 만드는 회사로, 실적이 안 좋게 나왔지만 내년에 전망치는 높게 잡혔고 매출은 높으나 주당순이익이 낮을 걸로 봐서는 돈을 어디다 썼다는 이야기인 거 같은데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사운드 하운드 AI는 AI 음성, 사운드 관련 회사로 알고 있습니다. ..

7월부터 해서 8월 초까지 이번 년 동안 벌었던 돈을 다 날렸습니다. 나름 열심히 공부하면서 주식했는데 한순간입니다. 그래서 습슬한 마음이 있지만 조금이라도 생각해서 얻어가는 게 있을까 봐 적어봅니다. 7월 동안 느낀 미국 주식 1. AI는 조금씩 발전하고 있지만 돈은 크게 안되는 거 같다. 그래도 빅테크 기업들은 뒤처질까 봐 투자를 멈출 수 없는 것 같다. 2. 미국 연준이 9월 금리인하를 시사했지만 이게 연착륙이 아닌 것 같다. 경기 침체가 오고 있는 거 같고 시장도 그렇게 느끼는 것 같다. 3. 미국 빅테크 기업의 실적이 강달러 때문에 높게 나오는 것 같다. 달러인덱스가 그렇게 높지 않았다면 적자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일단 오늘 저녁에 나오는 미국 실업률을 봐야 할 것 같다. 높게 나오..

**글쓴이가 잘못 이해한 것 일수도 있습니다..**요즘 해외주식으로 수익이 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엔비디아, 테슬라 등 많이 올랐습니다. 저는 작년에 해외주식으로 수익이 조금 나고 이번 연도 5월에 세금을 냈습니다. 내보니 조금 아깝더군요. 그래서 국내 주식으로 넘어 왔는데 여기도 세금이 있었습니다. 일단 저도 확실히 이해한게 아니며 공부 목적으로 적기 때문에 감안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식에 있어서 여러 상품이 있습니다. 파생상품, 해외주식, 국내주식 ,국내 해외 ETF 이렇게 나누어 보겠습니다.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싶게 말해서 선물, 옵션 등 상품 입니다. 과세대상 : 수익금 250만 원 이상 세율 : (수익금 - 250만 원) x 11% Ex) 해외 선물, 옵션, 스왑(Swap) 등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