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금리 (18)
대충살자 열심히..

***주린이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읽고 무시해 주시면 좋겠습니다***환율이 미친 듯이 오르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인하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그런 것 치고는 생각보다 많이 올라서 글을 한번 적어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유 1. 금리인하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인하를 했으니 원화가 약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물론 제 생각으로는 하면 안 되었다고 생각했으나, 똑똑하신 분들이기에 현명한 판단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2. 전쟁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도 북한이 지원하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에서 이스라엘과 이란으로 넘어갈 조짐입니다. 그래서 다들 안전자산을 찾는 게 아닐까 하네요. 3. 삼성전자 요즘 삼성전자 주식이 52주 최저가를 맞이하고 있고, 외국인들이 2달 동안 내내 팔고 있습니다. 그..

***주린이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읽고 무시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24/3/18 오늘 소개해드릴 ETF는 미국 필수 소비재 관련 ETF입니다. 이름은 KODEX 미국 S&P 500 필수소비재입니다. 티커는 453630입니다.최근에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인 CPI가 나왔습니다. 예상치 보다 높게 나왔지만 시장에서는 생각보다 신경 안 쓰는 모습입니다. 예전 같으면 금리를 올리니 내리니 하면서 변동이 심했을 것 같은데 시장에서는 금리는 끝물이고 미국 경제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인으로서 미국경제는 안 겪어 봤기 때문에 AI관련 주식을 비중을 줄이고 필수 소비재 쪽으로 사두는 것도 좋을까 생각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그 소비재도 오르고 그 회사 실적도 오른다고 생각합니다.(주린이 생각) 기..

7회 연속 한국 기준 금리가 3.50%로 동결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또는 느낀 점*** 한국이 7개월 째 금리 동결입니다. 하지만 다른 대출 몇 개들을 보시면 그 기준만큼도 안되는 저금리도 많습니다. 과연 물가를 잡을 생각이 있는건지... 왜 다른 대출은 편의를 봐줄려는지 모르겠습니다. 청년 전세대출도 2%대 라던데 그럴꺼면 기준금리를 왜 만든건지....

정부에서 만 34세 이하 주택청약대출 시 최대 80%를 연 2% 금리로 빌려준다는 기사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또는 느낀 점*** 일단 고금리 시대에 대출을 내어주는 게 너무 수상합니다. 부동산을 잡자고 대출을 퍼주면 경제나 물가는 어떻게 잡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또한 80% 대출로 받아서 집 산들 평생 살면서 대출이자를 값아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고 대출을 못 받은 층은 부동산 가격이 올라 더 많은 대출을 받아야 집을 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실업자수가 석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치가 나왔다는 기사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또는 느낀 점*** 미국 실업자수가 증가하게 되면 미국 연준의 생각대로 돼서 금리를 더 안 올리고 인하할 수 있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하지만 증시는 이틀 연속으로 상승했고 실업자 수가 늘어나면 인플레이션 반대로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는 모습을 조금 보이는 거 같습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호재가 될 수도 악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럴 때는 관망하는 것도 좋은 거 같습니다.

어제 미국의 생산자 물가지수인 PPI가 발표되었는데 예상치 보다 낮게 나왔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또는 느낀 점*** 물가가 안정되어가고 있다는 지표 발표로 증시는 기대감을 옵니다. 하지만 주식이 내 마음 대로 되지는 않습니다. 물가지표가 좋게 나왔지만 한번 더 의심하고 긴장을 풀 때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미국, 중국 정상회담이 있는데 어떻게 결론이 나올지 확인해봐야 할 거 같습니다.

고금리로 인해 대출이자와 원리금상환에 급여를 다 낸다고 정부가 이야기하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현 정부는 은행에서 이자장사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또는 느낀 점*** 정부가 서민들 이자가 비싸다고 은행에 이야기하는 모습이 저로써는 별로 마음에 안 듭니다. 정부는 왜 맨날 언발에 오줌 누는 식으로 정책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르니 대출규제를 풀어 부동산 가격을 더 올리고 빌리게 만들게 만든 잘못은 안 삼고 이자를 많이 받는 은행만 문제 삼는 것이 답답합니다. 물론 이자를 많이 받아 성과급을 챙기는 은행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은행에 대한 세금을 더 올릴 거라고 말하지만 다시금 돈을 풀고 물가 오르고 대출내고 물레방아 사이클이라 생각합니다.

엊그제 미국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어제 한국시간 저녁 9시 30분에 미국 고용 관련 경제지표가 나왔습니다. 실업률은 예상보다 올랐고 구인지표는 예상보다 떨어졌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또는 느낀 점*** 실업률이 오르고 구인이 줄어들면 경제가 안 좋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파월 연준 의장은 긴축정책에 대해서 원하는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그 말은 즉슨 금리인상은 마지막이었고 이제는 금리인하만 남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 기대감으로 미국 증시도 올랐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