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살자 열심히..

가계순저축률 본문

경제용어

가계순저축률

워런범핏 2023. 10. 11. 20:15
728x90
반응형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순저축률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무상교육,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된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
히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가계순저축률(%)= {가계부문순저축/(가계순처분가능소득+ 사회적현물이전수취
+ 연금기금의가계순지분증감조정) } ×100
 


마지막 정리

연합인포맥스 2021년 6월 기사

기사로 봤을 때 가계순저축률이 상승하면 내수경제에 소비가 줄어들거나 사회에서 많은 돈을 뿌리는 거 같습니다.
코로나 시국 때 많은 돈이 풀리고 감염예방 때문에 많은 제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가계순저축률이 상승했고 그 돈이 주식이며 코인 등 다른 곳으로 가서 상승을 이뤘다고 생각합니다.


**글쓴이가 잘못 이해한 것 일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교은행  (0) 2023.10.30
가계처분가능소득  (0) 2023.10.26
가계신용통계  (0) 2023.10.21
가계수지  (1) 2023.10.10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0) 2023.10.08